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18. 조현병과 환청: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야 할까?

by 정신변환우들의쉼터 2025. 4. 11.

18. 조현병과 환청: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야 할까?

환청은 조현병의 대표 증상 중 하나이며, 환자에게는 현실처럼 들리기 때문에 주변인의 이해와 접근 방식이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환청에 대한 이해, 대처법, 가족이나 보호자의 태도까지 안내해 드릴게요.

 

📝 조현병과 환청: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야 할까?

 

🎧 조현병 환자는 ‘진짜로’ 소리를 듣습니다

환청은 단순한 착각이 아닙니다.
조현병 환자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듣고,
그 소리에 명령을 받거나, 욕설을 듣거나, 협박을 당했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.

이때 주변 사람들이 “그런 거 없잖아!”라고 말하면
환자는 오히려 더 고립되고 불신을 느끼게 될 수 있어요.

 

🧠 환청이 발생하는 이유

환청은 주로 뇌의 감각 처리 회로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
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, 환자는 뇌에서 '진짜 소리'처럼 인식하기 때문에
정말 있는 것처럼 느끼고 반응하는 것이죠.

📌 스트레스, 수면 부족, 약물 복용 불규칙 등이 환청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
 

 

✅ 환청 대처법: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것

1. 현실 검증 훈련

  • “이건 내 머릿속에서만 들리는 소리야.”
  • 현실에서 그 말이 들렸는지, 주변 사람에게 조심스레 확인해보기

2. 산만하게 만들기 (디스트랙션 기법)

  • 음악 듣기, 퍼즐 맞추기, 산책 등으로 뇌의 주의를 전환
  • 환청의 강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

3. 마음속으로 되받아치기

  • “그만해. 나는 네 말 안 들을 거야.”
  • 자기주도적 사고가 환청에 흔들리지 않는 힘이 됩니다

 

🫂 가족과 주변인의 대처 태도

❌ 하면 안 되는 말

  • “그런 소리 안 들려!”
  • “정신 차려!”
  • “너 또 그 소리 들리는 거야?”

❗ 이 말들은 환자에게 부정당함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어요

✅ 이렇게 반응해보세요

  • “그 소리가 지금 많이 힘들게 하나 봐.”
  • “어떻게 하면 그 소리를 덜 신경 쓰게 도와줄 수 있을까?”
  • “네가 괜찮아질 때까지 옆에 있을게.”

환자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, 현실과의 균형을 gently 잡아주는 게 핵심입니다.

 

🛠 약물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해결 방법

  • 항정신병 약물은 환청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
  • 스스로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,
    복용 중단 없이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

 

🌱 마무리: 환청과의 싸움은 혼자만의 것이 아닙니다

환청은 통제할 수 없는 감각 경험이지만,
주변의 공감과 적절한 대처법, 꾸준한 치료
충분히 조절 가능한 증상입니다.

부정하지 말고, 두려워하지 말고,
그 소리를 '넘어서는 법'을 함께 배워가면 됩니다.

 

 

💬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/댓글로 나눠주세요.
다음 글에서는 [조현병과 현실감 상실: 대처 및 대응 방법]을 소개해드릴게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