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19. 조현병과 현실감 상실: 대처 및 대응 방법

by 정신변환우들의쉼터 2025. 4. 12.

이번 열아홉 번째 글 주제는:

19. 조현병과 현실감 상실: 대처 및 대응 방법

조현병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현실감 상실, 즉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무너지는 현상은 매우 혼란스럽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.


📝 조현병과 현실감 상실: 대처 및 대응 방법


🌀 “이게 현실이야, 아니면 꿈이야?”

조현병 환자들은 때때로 현실과 상상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에 빠지곤 합니다.
이런 상태를 **‘현실감 상실(derealization)’ 또는 ‘망상적 사고’**라고 하며,
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이나 주변인에게도 큰 혼란을 줄 수 있어요.


🧠 왜 현실감이 무너질까?

조현병의 주된 특징 중 하나는 사고의 왜곡입니다.
망상, 환청, 감정 둔화 등으로 인해 뇌가 현실을 정확히 해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.

주요 원인

  • 강한 스트레스 상황
  • 수면 부족
  • 약물 복용 불규칙
  • 사회적 고립
  • 감정 기복 및 불안

🔍 현실감 상실의 신호

  • 주변 환경이 낯설고 비현실적으로 느껴짐
  • 사람, 사물, 상황이 ‘조작된 것’처럼 느껴짐
  • 자신이 영화 속 인물이나, 특별한 사명을 지닌 존재라고 믿음
  • “모든 게 누군가의 계획이다”는 피해망상적 사고

✅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대처법

1. 현실 확인 질문 던지기

  • “지금 이 상황을 다른 사람도 똑같이 보고 있을까?”
  • “이게 뉴스에 나왔던 이야기인가, 아니면 내 생각인가?”

2. 현실에 닻 내리기 (Grounding 기법)

  • 내 주위에 있는 사물 5개 이름 말하기
  • 내 몸의 감각에 집중하기 (예: 발바닥, 호흡, 촉감)
  • “지금은 2025년, 나는 내 방에 있어”라고 말해보기

3. 기록하기

  • 현실감이 무너진 시점과 이유, 느낌을 짧게 기록
  • 증상 패턴을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한 첫걸음

🫂 가족이나 보호자의 대응 전략

✔ 먼저 감정을 받아주세요

  • “그렇게 느끼는구나.”
  • “지금 혼란스러울 수 있겠네.”
  • 공감은 무조건적인 동조와는 다릅니다

✔ 강한 논리로 반박하지 마세요

  • “그건 말도 안 돼” → 오히려 갈등 유발
  • 대신 부드럽게 현실로 이끄는 질문 사용
    예: “그게 사실이면 뉴스에도 나와야 하지 않을까?”

✔ 필요시 빠르게 전문가에게 연결

  • 현실감 상실이 심하거나 자해 위험이 느껴질 경우
    정신과 전문의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즉시 상담

🌱 마무리: 현실을 다시 찾는 건 훈련입니다

조현병에서의 현실감 상실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,
치료와 훈련, 지지적인 환경이 있다면 충분히 회복 가능합니다.

현실이 흔들리는 순간에도
스스로를 지키는 힘은 당신 안에 있습니다.


💬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/댓글로 함께 나눠주세요.
다음 글에서는 [조현병 환자와의 연애, 결혼은 가능할까?]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.